네이버 MYBOX와 한컴오피스 Web 편집

컴퓨터에 쌓여가는 문서들을 저장/보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Google Drive, Dropbox, Onedrive가 있다. 그동안 동기화가 편리하고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Google Drive을 활용해왔는데, word excel ppt 문서의 경우 기본적으로 구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에디터를 이용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공유 기능이 탁월한데 큰 딜레이 없이 동시에 한 문서를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아주 매력적이어서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한글 hwp 문서의 경우 온라인 상에서 수정하지 못하고 다운받은 뒤 수정 후 다시 업로드하는 방법을 사용해야했는데, 간단한 수정할 때에 매우 불편하게 느껴졌다. 만일 기존의 컴퓨터가 아닌 환경에서 문서를 이용하는데, 그 pc에 한글과컴퓨터가 깔려있지 않다면 실행시킬 수 없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

2023-5-27 · 1 min · 194 words · Junha

Starbucks 스타벅스 쿨 라임 피지오

답답한 마음에 스타벅스에서 청량감 넘치는 음료를 주문했다. 오전에 이미 아메리카노 한 잔을 마시기도 했고, 톡톡 쏘는 상큼한 무언가가 땡겼기에 쿨 라임 피지오메뉴로 결정했다. 슬슬 날씨가 더워지고 습해져서 마음속까지 시원하게 해주는게 땡겼는데 드디어 그 답답함이 해소되었따. 시큼한 라임맛과 톡톡 쏘는 탄산의 맛이 마음에 들었는데, 다음에는 탄산 추가랑 라임 베이스 추가 커스텀을 해서 마실 계획이다. 사이즈별 가격은 Tall-5,900원 / Grande-6,400원 / Venti-6,900원 이다. Tall기준 110kcal 정도여서 칼로리 부담 크기 없이 즐길 수 있는 가벼운 음료다. ...

2023-5-25 · 1 min · 104 words · Junha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대한민국의 항공우주산업의 현주소

원래 2023년 5월 24일 발사 예정이었던 누리호 3차 발사는 기술문제로 하루가 미루어졌다. 예전에 나로호 발사 당시에 기술적인 문제로 두 번의 고배를 마셨던 전적이 있어서 이번 발사도 이렇게 무산되나 싶었는데 다행히 이튿 날인 5월 25일 오후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핸드폰으로 실시간으로 발사 장면을 봤는데 왠지 모를 벅차오름이 있었다. 과학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이 정말 중요한데, 이번 누리호 발사처럼 대중들이 눈으로 볼 수 있는 성공은 기꺼이 투자해도 괜찮다는 마음을 열어준다. 사실 최근들어서 ‘왜 기초과학에 혈세인 세금을 투자해야하냐?‘에 대한 비판이 일부 거세지고 있는데, 가끔씩은 이렇게 가시적인 프로젝트가 열려서 일반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성과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2023-5-25 · 1 min · 185 words · Junha

백준 골드 티어 달성 solved.ac -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축하🎉 드디어 백준과 solved.ac 골드 티어를 달성했다. 뭐 코딩테스트 바로 통과하는 그런 자격증도 아니고 큰 의미는 없지만, 그래도 그동안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꾸준히 했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백준에는 다양한 코딩 문제들이 모여있는데, 다른 사람의 풀이를 베끼지 않고 내 힘으로 알고리즘 개념들을 공부해가면서 골드 티어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뿌듯하다. 물론 골드 티어를 달았다고 해서 실버 티어의 문제를 다 풀 수 있다는 건 아니다… 사실 실버III 문제들 중에서도 쩔쩔매게 만드는 문제들이 분명 존재한다. 그래도 이제는 어느정도 기본적인 유형들의 문제는 조금만 고민해보면 풀 수 있어서 코딩 문제를 해결하는데 재미가 붙은 상태다. ...

2023-5-25 · 1 min · 189 words · Junha

casio fx-570ex 공학용 계산기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써왔으니 이제 8년정도 함께한 나의 공학용 계산기. 이공계생이라면 하나씩은 들고 다니는 필수템이다. 보통 casio fx-570es 라인이 국룰로 여겨지지만, 인터페이스가 더 예쁜 fx-570ex가 마음에 들었다 2-3만원 정도로 만원 차이가 나는데, 그정도면 투자할 만 하지 않나 싶다. 기능이 정말 많지만 가장 유용하게 쓰는 기능은 SOLVE 기능과 output 표시 방식. 방정식을 풀 때에 굳이 전개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간단한 방정식은 SOLVE 기능으로 해결 가능하다. 대학교 전공시험 볼 때에 이거 되는지 안되는지의 차이가 매우 크다. 검산을 한번 더 가능하냐 아니냐의 차이니까! 두 번째로 output 표시 방식은 sci 3로 해놓는 편인데, 이게 유효숫자를 맞추는데 큰 도움이 된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유효숫자에 대해 채점이 덜 엄격해지긴 하지만, 그래도 이 기능을 활용하면 어느정도 해결해준다. ...

2023-5-20 · 2 min · 245 words · Junha